Home
home
최근 해양기후 분석정보
home
🏝️

독도 해역 하위생태계 변동과 계절 전망

# 연직 1차원 해양시스템 모형을 이용한 시범 재현 및 예측 결과입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
바로가기

최근 변동 재현과 3개월 시범 전망

2023.1~2월 재현 + 3~5월 시범 전망 [ 10년(2009~2018)평균 월평균 대비 2023년 월평균 편차]

대기 강제력

기온, 기압, 풍속, 풍향, 상대습도, 운량
기계학습 모형
(평년 30년평균, 과거 유사 패턴, 미래cfs, KESM)

해양 구조

동해 해수면 및 유선 함수 변동
독도 난수 소용돌이 지수
수온/염분

하위 생태계

영양염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박테리아
수온, 엽록소a, 유기물

경년변동 (2006~)

난수소용돌이 지수 변동 (2006.01.01 ~ 2022.09.30)
바로가기
독도 주변 대륙붕 해역
독도 주변 대륙붕 해역내 일차생산 변동 편차

재현성 평가

Target Diagram

지난 해 돌아보기

최근 10년(2009~2018) 월평균장

요약
영양염(인산염, 질산염, 암모니아, 규산염)의 10년(2009~2018) 평균 분포(가로축: 월, 세로축: 수심(m)); (붉은선: 혼합층 깊이, 검은선: 유광층 깊이)
식물플랑크톤(규조류(Diatoms), 미소(Nano-), 초미세(Pico-), 소형(Micro-))의 10년(2009~2018) 평균 분포(가로축: 월, 세로축: 수심(m)); (붉은선: 혼합층 깊이, 검은선: 유광층 깊이)
동물플랑크톤(중형(Meso-), 소형(Micro-), 미소(Nano-), 박테리아)의 10년(2009~2018) 평균 분포(가로축: 월, 세로축: 수심(m)); (붉은선: 혼합층 깊이, 검은선: 유광층 깊이)
수온, 엽록소(Chl-a), 용존유기물(DOC), 고형유기물(POC)의 10년(2009~2018) 평균 분포(가로축: 월, 세로축: 수심(m)); (붉은선: 혼합층 깊이, 검은선: 유광층 깊이)

독도모니터링부이

현장관측

위성 해수면고도 평균장 및 표준편차

개요

재현 및 예측 시스템

최종목표

모형을 이용한 독도해역 해양생태계 과거 변동성 재현 및 관련 역학 규명
기후(환경)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해양생태계 미래 변화 전망
필요성
주요 연구 내용
2022년 연구 내용

GOTM-ERSEM

Generalized Ocean Turbulence Model - European Regional Seas Ecosystem Model
모형 수립: 독도 모니터링 부이 해역, 동도 동방 3.2km, 수심 140m
재현 시스템
예측 시스템
평가 시스템

  문의 및 제언

update @10/18/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