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북서태평양 해양 특징:
1.
북서태평양 전역에 해수면온도 및 해양열용량 양의 편차가 나타남. 특히 20N이남 해역에서 높은 해양열용량 편차가 나타났으며 필리핀해에서는 약 40 kJ cm^-2이상의 편차가 보임.
2.
JJA기간 20~30N, 125-135E해역 Tmix100 및 해양열용량 음의 편차 ⇒ 이시기에 이 해역을 통과한 태풍은 총 4개로 대부분 발달 하지 못함
•
2021년 북서태평양 해수면 온도 (좌) 및 연직혼합온도 (우, 0-100m 평균수온; Price 2009)의 공간 분포 및 기후 편차(전체 JJASON, 여름철 JJA, 가을철 SON; CFS 자료기반). 음영은 2021년 편차를, 등고선은 기후평균 (1979-2020년)을 의미함. 회색 음영은 표준편차 이상의 편차가 나타난 지역을 의미함.
•
2021년 북서태평양 해양열용량 (좌) 및 24℃기반 해양열용량 (우; Wada 2016)의 공간 분포 및 기후 편차(전체 JJASON, 여름철 JJA, 가을철 SON; CFS 자료기반). 음영은 2021년 편차를, 등고선은 기후평균 (1979-2020년)을 의미함. 회색 음영은 표준편차 이상의 편차가 나타난 지역을 의미함.
2021년 북서태평양 대기대순환 특징:
•
2020년 겨울철 최성기 이후 소멸하던 라니냐가 2021년 6-7월을 기점으로 재발달하기 시작하여 9-11월 약한 라니냐로 발달하였다. 북서태평양의 태풍발생 주요지역에서의 대류활동은 전반적으로 평년대비 감소하였으며 여름철에는 20-30N 부근에서의 대류가 증가하고 20N 남쪽으로 대류가 감소하여 남북으로 대칭되는 편차를 보였다. 가을철에는 인도양-남중국해의 대류가 증가하고 130E 동쪽으로는 대류가 감소하는 동서로 대칭되는 편차의 모습을 보였다. 해수면온도(음영, ERA5 자료)와 OLR(검은 실선, NOAA 자료)의 기후값(1991-2020, 왼쪽 패널)과 2021년 편차(오른쪽 패널). 위에서 부터 태풍시즌(6-11월), 여름철(6-8월), 가을철(9-11월)을 나타냄.
•
여름철 계절내 진동(BSISO, Kikuchi, 2021; http://iprc.soest.hawaii.edu/users/kazuyosh/ISO_index/data/BSISO_25-90bpfil.rt_pc.txt)은 7월후반부와 10월 중순을 합하여 약 보름가량 북서태평양 지역 대류활동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2021년 태풍계절에서 여름철 계절내 진동의 영향이 평년대비 매우 적었음을 보여준다. 엘니뇨 지수(ONI, NOAA 자료)는 여름철 라니냐 유사 평년에서 가을철 약한 라니냐로 발달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가을철 원격상관의 영향을 시사하는 반면 태평양 남북 모드 (PMM, Chiang and Vimont, 2004; https://www.aos.wisc.edu/~dvimont/MModes/RealTime/PMM.txt)는 6-7월 아열대 해수면온도 감소를 보이며 여름철 원격상관의 영향을 시사한다. 과거자료 분석에서 라니냐는 남동쪽 지역의 태풍 발생을 억제하며 음의 태평양 남북 모드는 동쪽 지역 태풍 발생을 억제하는 경향을 보인다.
•
대규모 해양-대기 주변장이 태풍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식으로 나타낸 태풍 발생 잠재지수 (ERA5 자료)는 여름철과 가을철 모두 동쪽에서의 태풍 발생 환경이 평년(왼쪽 패널)대비 억제됨을 보이며 2021년 (오른쪽 패널) 여름철에는 20N 북쪽으로 가을철에는 20N 남쪽으로 태풍 발생 환경의 호조건을 보였다. 이는 태풍계절 동안 강한 태풍의 발생이 많은 남동쪽 부근에서의 주변장이 태풍 발생을 억제하여 강한 태풍의 활동이 평년대비 줄어들며 여름철 태풍 발생이 평년대비 북으로 이동되었음을 시사한다.
•
하층 대기장의 서풍과 동풍의 경계로 대표되는 몬순골의 위치가 평년대비(왼쪽 패널) 20N을 경계로 남쪽에서는 서쪽으로 후퇴되었으며 북쪽에서는 동쪽으로 발달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20N 남쪽에서의 몬순골 후퇴는 여름철과 겨울철 모두에서 관찰되며 북쪽에서의 몬순골 발달은 여름철에 나타나는 특징이다. 하층의 상대와도 및 수증기 공급과도 연관되는 몬순골의 위치 편차로 미루어 여름철 태풍 발생 위치의 북상과 태풍계절 전반에서 태풍 활동의 억제가 설명된다. 850-hPa 하층 streamfunction (음영)과 streamline (실선 및 벡터). 2021년을 나타내는 오른쪽 패털에서는 streamfunction만 편차로 나타냄.
•
몬순골의 위치에서 보았듯이 하층 상대와도는 여름철 20N을 기준으로 북으로 증가 남으로 감소하는 남북 쌍극자 패턴을 보이며 여름철 가을철 모두 남동쪽에서의 하층 상대와도의 감소를 나타내고 있어 2021년 강한 태풍의 활동이 평년대비 감소함을 시사한다.
•
중하층 상대습도 역시 남동쪽에서 평년대비 감소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여름철에는 북서쪽에서 증가하는 모습을 가을철에는 남서쪽, 특히 남중국해에서의 증가가 뚜렷하다.
•
연직바람쉬어가 태풍계절 동안 태풍주요발생지역에서 필리핀 앞바다 남쪽 영역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태풍활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2021년 태풍활동의 감소를 잘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