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기후정보서비스
home
최근 해양기후 분석정보
home
🔎

2021년 5월 해양기후 분석정보

해양기후변수의 의미
자료 및 분석 정보
목차 (삼각형을 누르세요)
2021년 5월 해양기후 분석정보
14164.7KB

요약

해면수온 (Sea Surface Temperature, SST)

전지구 평균 해면수온은 평년(18.2 °C)보다 0.3 °C 높았으나 열대 동태평양 해역에서는 낮았습니다.
한국주변해역의 5월 평균 해면수온은 20.1 °C로 평년(19.4 °C)보다 0.7 °C 높았습니다.
동해는 평년(11.0 °C)보다 0.7 °C, 동중국해는 평년(21.4 °C)보다 0.9 °C 높았으며, 황해는 평년(13.8 °C)과 비슷했습니다.
최근 30년 동안 5월의 해면수온은 10년에 0.2 °C씩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동중국해는 0.3 °C씩 오르는 추세입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 표준편차 범위
흑색선: 평년평균, 적색선: 선형 추세
2쪽
목차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3쪽
목차

해수면 (Sea Level)

전지구 평균 해수면은 평년보다 6.1 cm 높았습니다.
동중국해와 동해는 평년보다 각각 5.0 cm, 7.0 cm 높았으나, 황해는 평년과 비슷하였습니다.
최근 28년 동안 5월의 전지구와 한국주변해역의 해수면은 10년에 3.3 cm씩 상승하는 추세이며, 동해의 상승률이 10년에 3.6 cm로 비교적 높았습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 표준편차 범위
흑색선: 평년평균, 적색선: 선형 추세
4쪽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5쪽
목차

해면기압 (Sea Level Pressure)

전지구와 한국주변해역의 평균 해면기압은 각각 1011.0, 1011.4 hPa로 평년(1011.1, 1011.9 hPa)과 비슷했습니다.
황해의 해면기압은 평년(1011.2 hPa)보다 2.5 hPa 낮았으며, 동해의 해면기압은 평년(1010.8 hPa)보다 2.9 hPa 낮았습니다.
최근 30년 동안 전지구 5월 해면기압은 10년에 0.03 hPa, 한국주변해역은 0.1 hPa씩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황해, 동해, 동중국해의 5월 해면기압은 10년에 0.2~0.3 hPa씩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 표준편차 범위
흑색선: 평년평균, 적색선: 선형 추세
6쪽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7쪽
목차

해상풍 (Sea Surface Wind, 10 m)

전지구 해상풍의 세기는 평년보다 7.3 % 강했습니다.
한국주변해역의 해상풍은 평년보다 42.8 % 강했으며, 이는 대부분 일본 남동쪽(쿠로시오해역)의 해상풍 강화로부터 기인하였습니다.
동중국해의 해상풍은 평년보다 22.6 % 강했습니다.
최근 30년 동안 전지구와 한국주변해역의 5월 해상풍속은 10년에 0.1 m/s씩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황해, 동해, 동중국해의 5월 해상풍속은 10년에 0.1~0.2 m/s씩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 표준편차 범위
흑색선: 평년평균, 적색선: 선형 추세
8쪽
벡터(화살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벡터(화살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9쪽
목차

해상기온 (Air Temperature, 2 m)

전지구 해상기온(육지제외)은 16.8 °C로 평년(16.5 °C)보다 0.3 °C 높았으며, 한국주변해역은 20.0 °C로 평년(19.4 °C)보다 0.6 °C 높았습니다.
동중국해의 해상기온은 21.5 °C 로 평년(20.6 °C)보다 0.9 °C 높았습니다.
최근 30년 동안 전지구 5월 해상기온은 10년에 0.2 °C씩, 한국주변해역은 0.1 °C씩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황해, 동해, 동중국해의 5월 해상기온은 10년에 0.1~0.2 °C씩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 표준편차 범위
흑색선: 평년평균, 적색선: 선형 추세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11쪽
목차

해상강수량 (Accumulated Precipitation)

전지구 누적 해상강수량(육지제외)은 96.8 mm로 평년(92.4 mm)보다 4.4 mm 많았습니다.
한국주변해역의 누적 해상강수량은 73.3 mm로 평년(84.4 mm)과 비슷했습니다.
최근 30년 동안 전지구 5월 누적 해상강수량은 10년에 0.1 mm씩 감소하는 추세이나, 한국주변해역은 10년에 0.2 mm씩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황해와 동해의 5월 누적 해상강수량은 10년에 0.5~1.2 mm씩 감소하는 추세이나, 동중국해는 10년에 5.0 mm씩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 표준편차 범위
흑색선: 평년평균, 적색선: 선형 추세
12쪽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13쪽
목차

북극 해빙 (Arctic Sea Ice)

북극 해빙면적은 1,266만 km²로 평년(1,329만 km²)보다 63만 km² (4.7 %) 작았습니다.
이는 역대 최소를 기록한 2016년 5월에 비해 74만 km² 늘어난 값이며, 위성관측 기간 중 9번째로 작은 수치입니다.
최근 30년 동안 5월 북극 해빙면적은 10년마다 38만 km² 만큼 줄어들었습니다.
북극 해빙두께는 1.9 m로 평년(2.4 m)보다 약 0.5 m (21 %) 줄었으며, 최근 30년 동안 10년에 약 0.3 m씩 얇아지는 추세입니다.
5월 북극 해빙 농도는 바렌츠해(Barents Sea)와 래브라도해(Labrador Sea)에서 평년 대비 40% 이상의 두드러진 감소를 보였습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흑색선: 평년평균, 적색선: 선형 추세
흑색선: 평년평균, 적색선: 선형 추세
14쪽
15% 이상 해역
15% 이상 해역
15쪽
목차

남극 해빙 (Antarctic Sea Ice)

남극 해빙면적은 1033만 km²로 평년(1016만 km²)보다 17만 km² (1.7 %) 컸고, 5월 최소면적을 기록한 2019년(885만 km²)보다 148만 km² 늘어났습니다.
최근 30년 동안 5월 남극 해빙면적은 10년에 9만 km² 만큼씩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남극 해빙면적은 웨델해(Weddell Sea)와 로스해(Ross Sea)에서 평년보다 작았으며, 다른 해역에서는 컸습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평균±표준편차)
흑색선: 평년 평균, 적색선: 선형 추세
15% 이상 해역
16쪽
목차

5월 특이 현상

2020-2021 라니냐 소멸
2020년 6월부터 서서히 발달하기 시작한 2020-2021 라니냐는 2020년 11~12월에 가장 크게 발달했다가 2021년 봄부터 약화되기 시작하여 지난 5월에 거의 소멸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3호 태풍 초이완(Choi-Wan) 발생
2021년 5월 31일 제3호 태풍 초이완(CHOI-WAN, 홍콩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색깔 있는 구름'(채운)을 의미)이 팔라우 서쪽 해상에서 발생하였으나 크게 발달하지 못하고 필리핀을 관통하며 북서진하다가 6월 5일 온대성 저기압으로 변질되었습니다.
인도양 사이클론(cyclone) 2개 발생
5월 중 인도양에서는 두 개의 사이클론이 발생했고, 각각 타우태(Tauktae)와 야스(Yaas)로 명명되었습니다. 타우태는 5월 14일 발생해서 19일 소멸될 때까지 중심기압 950 hPa 까지 발달 하였으며, 인도 북서부에 많은 비를 내렸습니다. 한편 야스는 5월 23일 발생해서 중심기압 972 hPa 까지 발달하였고 28일 소멸하였습니다.
17쪽
목차

해양기후변수의 의미

해면수온
해수면
해면기압
해상풍
해상기온
해상강수량
해빙
18쪽
목차

자료 및 분석 정보

Search
자료 및 분석 정보
변수명
평년평균 산출기간
원시 자료 출처
분석 및 가시화 도구
30년 (1991년 1월~2020년 3월 v2.0+ 2020년 4월~2020년 12월 v2.1)
NCEI Optimum Interpolation Sea Surface Temperature (OISST) v2.0 & v2.1 Daily Reynolds - OISST sea surface temperature (AVHRR-only) data obtained from NOAAs'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NCEI): https://www.ncei.noaa.gov/data/sea-surface-temperature-optimum-interpolation/v2.1/access/ , https://doi.org/10.25921/RE9P-PT57.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28년 (1993년 1월~2019년 9월 재생산자료+ 2019년 10월~2020년 12월 최근자료)
E.U. Copernicus Marine Service Information (https://marine.copernicus.eu/), Absolute Dynamic Topography (ADT) 재생산자료: SEALEVEL_GLO_PHY_L4_REP_OBSERVATIONS_008_047 최근 자료: SEALEVEL_GLO_PHY_L4_NRT_OBSERVATIONS_008_046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30년 (1981~2010년)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30년 (1981~2010년)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30년 (1981~2010년)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30년 (1981~2010년)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30년 (1981~2010년)
NOAA/NSIDC Fetterer, F., K. Knowles, W. N. Meier, M. Savoie, and A. K. Windnagel. 2017, updated daily. Sea Ice Index, Version 3. Boulder, Colorado USA. NSIDC: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doi: https://doi.org/10.7265/N5K072F8. [2021.04.05].
Python 3.7.10 (matplotlib 3.2.0, basemap 1.2.1) Python 3.9.2 (Plotly 4.14.3)
30년 (1981~2010년)
UW/PSC Schweiger, A., R. Lindsay, J. Zhang, M. Steele, H. Stern, Uncertainty in modeled arctic sea ice volume, J. Geophys. Res., doi: https://10.1029/2011JC007084, 2011
Python 3.7.10 (matplotlib 3.2.0, basemap 1.2.1) Python 3.9.2 (Plotly 4.14.3)
COUNT8
19쪽
목차
20쪽
목차

댓글나눔 (2021년 5월 해양기후분석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