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기후정보서비스
home
최근 해양기후 분석정보
home

Draft

1.1 해양기후 정의
해양기후란 해양 환경과 생태계의 장기(~30년) 평균 상태 및 추세로서 해양기후 변동과 해양기후 변화로 구분할 수 있다. 해양기후 변동은 지구 내부 및 우주의 변동 외력에 대해서 복원성을 지닌 것을 말하며, 해양기후 변화는 인간활동에 의한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와 같은 온실기체 배출 증가로 인한 인위적 변동에 의해서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변화가 비가역적으로 수반되는 경우를 말한다. 물론 30년보다 더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복원성을 지닐 수도 있다.
1.2 해양기후 변화 배경
자연변동: ENSO, PDO, ...,
자연변화: 화산폭발, 지각이동(지진)
인위변동/변화: 화석연료 사용 증대 → 대기중 온실기체 농도 증가
1.3 해양기후 상태와 추세 분석의 중요성
1.4 이 책의 구성
제2장에서는 2021년 해양기후 변동 및 변화 특성을 간략히 요약하고, 제3장에서는 해양기후 핵심변수별로 상세 분석한 내용을 해역별로 수록하였으며, 4장에서는 태풍활동과 같은 특별변수 위주로 상세 분석하고 5장에서는 해역별로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