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기후정보서비스
home
최근 해양기후 분석정보
home
🔎

2021년 4월 해양기후 분석정보

해양기후지표(Ocean Climate Drivers)별로 보기
PDF로 다운로드(2.8MB)받아 보기
2802.0KB
좌측PDF와 동일한 내용을 보다 고해상도로 보기(20MB)
20339.8KB
1쪽
목차로 돌아가기

해면수온 (Sea Surface Temperature, SST)

전지구 평균 해면수온은 평년(18.3 °C)보다 0.2 °C 높았습니다.
서태평양과 대서양 아열대 및 온대 해역에서는 높았으나, 열대 동태평양 해역에서는 낮았습니다.
한국주변해역의 4월 평균 해면수온은 17.6 °C로 평년(17.2 °C)보다 0.4 °C 높았습니다.
특히 동해는 평년(7.9 °C)보다 1.1 °C, 동중국해는 평년(18.7 °C)보다 0.8 °C 높았으며, 황해는 평년(9.3 °C)과 비슷했습니다.
최근 30년 동안 4월의 해면수온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으며, 전지구해역은 10년마다 0.2 °C, 한국주변해역과 황해는 0.1 °C, 동중국해와 동해는 0.2 °C씩 상승하는 추세입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 평균±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구간(평년 평균±표준편차 범위)
흑색선: 평년 평균, 적색선: 선형 추세
구간표시선: 평년 표준편차 범위
2쪽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3쪽
목차로 돌아가기

해수면 (Sea Level)

전지구 평균 해수면은 평년(0.58 m)보다 0.06 m 높았으나, 열대 동태평양 해역은 평년과 비슷하였습니다.
한국주변해역에서는 모두 평년보다 높았으며, 특히 동중국해는 평년(0.81 m)보다 0.09 m 높았습니다.
최근 28년 동안 4월의 해수면은 모든 해역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며, 해수면 상승률은 10년마다 전지구 3.3 cm, 동해 3.2 cm, 동중국해 3.3 cm, 황해 3.7 cm로 황해의 상승률이 가장 높았습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 평균±표준편차)
구간표시선: 평년 평균±표준편차 범위
흑색선: 평년 평균, 적색선: 선형 추세
구간표시선: 평년 표준편차 범위
4쪽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5쪽
목차로 돌아가기

해면기압 (Sea Level Pressure)

전지구 평균 해면기압은 평년과 비슷했으나 북태평양과 북대서양 북부 해역은 평년보다 높았습니다.
제2호 태풍 수리개(Surigae)의 영향으로 북서태평양 아열대 해역의 해면기압이 평년보다 낮았습니다.
북대서양 해역에서 음의 북대서양 진동과 관련된 쌍극자(dipole) 형태의 기압 편차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한국주변해역의 해면기압은 평년과 비슷했으나 동해와 황해는 평년보다 높았습니다.
최근 30년 동안의 전지구 4월 평균 해면기압은 평년 수준이었으나, 황해, 동중국해, 동해는 10년마다 약 0.3 hPa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 평균±표준편차)
흑색선: 평년 평균, 적색선: 선형 추세
구간표시선: 평년 평균±표준편차 범위
구간표시선: 평년 표준편차 범위
6쪽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7쪽
목차로 돌아가기

해상풍 (Sea Surface Wind, 10 m)

전지구 평균 해상풍의 세기는 평년과 비슷했으나, 한국주변해역 해상풍은 평년보다 45.8 % 증가하여 최근 30년 중 가장 강했습니다.
제2호 태풍 수리개(Surigae)의 영향으로 북서태평양 아열대 해역에서 반시계 방향 해상풍 편차가 나타났습니다.
북대서양 해역에서 음의 북대서양 진동과 관련된 해상풍 편차가 나타났습니다.
황해의 해상풍은 평년보다 52.0 % 약했으며, 동중국해의 해상풍은 평년보다 51.3 % 강했습니다.
최근 30년 동안 4월 해상풍속은 한국주변해역에서 10년마다 약 0.1 m/s씩 증가하는 추세이며, 황해에서는 10년마다 약 0.1 m/s씩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 평균±표준편차)
흑색선: 평년 평균, 적색선: 선형 추세
구간표시선: 평년 평균±표준편차 범위
구간표시선: 평년 표준편차 범위
8쪽
벡터(화살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벡터(화살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9쪽
목차로 돌아가기

해상기온 (Air Temperature, 2 m)

전지구 평균 해상기온(육지제외)은 16.7 °C로 평년(16.4 °C)보다 0.3 °C 높았으며, 한국주변해역(육지제외)은 16.6 °C로 평년(16.6 °C)과 비슷했습니다.
최근 30년 동안 4월 전지구 평균 해상기온은 10년마다 약 0.2 °C씩 증가하는 추세이나, 한국주변해역은 10년마다 약 0.1 °C씩 감소하는 추세입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 평균±표준편차)
흑색선: 평년 평균, 적색선: 선형 추세
구간표시선: 평년 평균±표준편차 범위
구간표시선: 평년 표준편차 범위
10쪽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11쪽
목차로 돌아가기

해상강수량 (Accumulated Precipitation)

전지구 평균 누적 해상강수량(육지제외)은 89.9 mm로 평년(88.2 mm)과 비슷했습니다.
한국주변해역(육지제외)의 누적 해상강수량은 82.2 mm로 평년과 비슷했습니다.
제2호 태풍 수리개(Surigae)의 영향으로 북서태평양 아열대 해역(필리핀 동부)의 해상강수량이 평년보다 많았습니다.
최근 30년 동안 4월 누적 해상강수량은 전지구 해역의 경우 10년마다 약 0.7 mm씩 증가하는 추세이며, 동중국해는 약 1.1 mm씩 감소하고, 동해는 약 5.8 mm씩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 평균±표준편차)
흑색선: 평년 평균, 적색선: 선형 추세
구간표시선: 평년 평균±표준편차 범위
구간표시선: 평년 표준편차 범위
12쪽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채색표시: 평년 표준편차 초과 해역
13쪽
목차로 돌아가기

북극 해빙 (Arctic Sea Ice)

북극 해빙 면적은 1,384만 km²로 평년(1,469만 km²)보다 85만 km² (5.8 %) 작았습니다.
이는 최소 면적을 기록한 2019년 4월보다는 41만 km² 늘어난 값이며, 위성관측 기간 중 6번째로 작은 값입니다.
최근 30년 동안 4월 북극 해빙 면적은 10년마다 39만 km²만큼 사라졌습니다.
북극 해빙의 평균 두께는 1.9 m로 평년(2.3 m)보다 약 0.4 m (18 %) 얇았으며, 최근 30년 동안 10년마다 약 0.24 m씩 얇아지는 추세입니다.
북극 해빙 두께 분포의 최근 10년(2011~2020년) 평균 대비 편차는 대서양측 감소와 태평양측 증가의 쌍극자 양상을 보였습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 평균±표준편차)
흑색선: 평년 평균, 적색선: 선형 추세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 평균±표준편차)
흑색선: 평년 평균, 적색선: 선형 추세
14쪽
15% 이상 해역
15% 이상 해역
15쪽
목차로 돌아가기

남극 해빙 (Antarctic Sea Ice)

남극 해빙면적은 708만 km²으로 평년(685만 km²)보다 23만 km² (3.4 %) 큰 면적입니다.
남극 해빙면적은 웨델해(Weddell Sea) 북서부와 로스해(Ross Sea) 북부에서 작았으며, 다른 해역에서는 대체로 평년보다 컸습니다.
음영표시: 평년구간(평년 평균±표준편차)
흑색선: 평년 평균, 적색선: 선형 추세
15% 이상 해역
16쪽
목차로 돌아가기

4월 관심 현상: 2호 태풍 수리개(Surigae)

태풍 수리개(Surigae)는 북한에서 제출한 이름으로, 솔개의 함경도 방언이며, 2015년 필리핀과 중국에 큰 피해를 입혀 제명된 이름인 무지개를 대체한 것입니다.
한편 무지개도 2003년 우리나라에 큰 피해를 입혀 제명된 태풍 매미의 대체 이름이었습니다.
수리개는 2021년 4월 14일 발생하였고 4월 25일 소멸하였습니다.
수리개의 최대풍속은 한국시각 4월 18일 12시 기상청 기준 10분 평균 풍속으로 59 m/s를 기록하였으며,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JTWC) 1분 평균 풍속으로는 85 m/s를 기록하였습니다.
최저기압은 895 hPa를 기록하였으며 중심기압으로 보면 1951년 관측 이후 4월 중 가장 강했던 태풍으로 기록되었습니다.
태풍 수리개의 특징으로 급강화를 들 수 있는 데, 한국시각 4월 16일 15시 JTWC 1분 평균 풍속 41 m/s에서 4월 18일 03시 83 m/s로 36시간만에 42 m/s나 풍속이 증가하였습니다. 참고로 태풍의 급강화란 24시간 동안에 15 m/s 이상의 풍속 증가가 일어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북상하던 태풍 수리개는 북위 20도를 지나면서 강한 서풍대를 만나 동쪽으로 진행하다가 해상에서 소멸했습니다. 필리핀에서는 10명이 사망하고 8명이 실종되는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2호 태풍 수리개의 경로 (기상청)
2호 태풍 수리개의 경로상 강도 변화(작은 채색 동그라미, 4월 13일 ~ 20일, 회색은 태풍이 되기 전 열대저기압, 태풍 1등급(초록색)~5등급(보라색))와 당시 부근에 있던 해양조사선 이사부호 에서 관측한 표층수온 (큰 채색 동그라미, 4월 8일 ~ 17일, 붉은색으로 갈 수록 높은 수온)
2호 태풍 수리개 발생 직후 (2021년 4월 15일) 해면수온(°C) 분포 (하늘색선/원: 4월 14~15일 태풍 수리개의 1일 간격 위치 및 경로)
2021년 4월 22일 해면수온(°C) 분포: 4월 19~20일 태풍 수리개 통과 후 필리핀 동쪽 해상에서 해면수온이 3 °C 이상 낮아졌다. (하늘색선/원: 4월 14일부터 4월 25일까지 태풍 수리개의 1일 간격 위치 및 경로)
17쪽
목차로 돌아가기

해양기후변수의 의미

18쪽
목차로 돌아가기

자료 및 분석 정보

Search
자료 및 분석 정보
변수명
평년평균 산출기간
원시 자료 출처
분석 및 가시화 도구
30년 (1991년 3월~2020년 3월 v2.0+ 2020년 4월~2020년 12월 v2.1)
NCEI Optimum Interpolation Sea Surface Temperature (OISST) v2.0 & v2.1 Daily Reynolds - OISST sea surface temperature (AVHRR-only) data obtained from NOAAs'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NCEI): https://www.ncei.noaa.gov/data/sea-surface-temperature-optimum-interpolation/v2.1/access/ , https://doi.org/10.25921/RE9P-PT57.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28년 (1993년 1월~2019년 9월 재생산자료+ 2019년 10월~2020년 12월 최근자료)
E.U. Copernicus Marine Service Information (https://marine.copernicus.eu/), Absolute Dynamic Topography (ADT) 재생산자료: SEALEVEL_GLO_PHY_L4_REP_OBSERVATIONS_008_047 최근 자료: SEALEVEL_GLO_PHY_L4_NRT_OBSERVATIONS_008_046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30년 (1981~2010년)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30년 (1981~2010년)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30년 (1981~2010년)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30년 (1981~2010년)
Python 3.9.2 (Plotly 4.14.3, matplotlib 3.4.1, cartopy 0.18.0)
30년 (1981~2010년)
NOAA/NSIDC Fetterer, F., K. Knowles, W. N. Meier, M. Savoie, and A. K. Windnagel. 2017, updated daily. Sea Ice Index, Version 3. Boulder, Colorado USA. NSIDC: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doi: https://doi.org/10.7265/N5K072F8. [2021.04.05].
NCAR Command Language (NCL) version 6.6.2
30년 (1981~2010년)
UW/PSC Schweiger, A., R. Lindsay, J. Zhang, M. Steele, H. Stern, Uncertainty in modeled arctic sea ice volume, J. Geophys. Res., doi: https://10.1029/2011JC007084, 2011
NCAR Command Language (NCL) version 6.6.2
COUNT8
19쪽
목차로 돌아가기
20쪽
목차로 돌아가기

(설문작성) 질문 및 조언

목차